해양유물 전시회 ‘해양 명품 100선 바다를 품다’
3월 4일 까지 국립해양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해양유물 전시회
-
[해양 명품 100선 바다를 품다]는 국립해양박물관에서
-
소장하고 있는 2만 여점이나 되는 해양관련 유물 중에서
-
대표 유물 100점을 선별하여 [1부 항해의 시작,그리고 바닷길],
-
[2부 바다의 역사, 그들의 기록],
-
[3부 바다에서 이어진 문화와 예술] 3개 구역으로
나누어 전시 되고 있는데요.
전시장 입구 벽에는 이탈리아의 코르넬리가 1600년대 말에 제작한
-
직경이 110cm나 된다는 대형 천구의의 동판을 1965년에 다시 인쇄하여
-
채색한 천문지도를 확대 출력하여 보여주고,
지구의 제작 장인인 영국 뉴튼 일가가 1846년에 제작한
-
지구의와 천구의 한 쌍과 영국 아담스 일가가 1797년에 만들었다는
-
항해용 지구의와 천구의가 전시 되어 있었는데
동해를 [[한국만],한국해]로 대한해협은
-
[한국해협]으로 표기 하고 있었으며,
이탈리아의 로버트 더들리가 1647년 근대지도 표기의 시초가 된
-
메르카토르 방식으로그린 세계최초의 해도에도
-
동해는 [한국해] 라고 표기 되어 있었고, 네덜란드의
지도 제작자 구스가 1666년에 제작한 해도첩과
-
프랑스 벨랭이 1764년에 만들었다는 5권의 책 형태의
-
해도첩에도 동해가 한국해로 표기되어 있는가 하면,
1550년 이탈리아의 바르몰로메오가 만든 양피지 해도는
-
해안선이나 암초같은 지리적 표현의 색상과 삽화가 아름다워서
-
미술 작품을 보는 느낌이 들었읍니다
1785년부터 3년간 동해 일대를 탐험하고 서양인으로서는
-
최초로 울릉도를 구경하였다는 프랑스 라메루즈의 탐험기와
-
동양지역 지도와 정보가 담겨 있는 네덜란드 린스호턴의 여행안내서,
1818년 조선의 서해안 탐사기와
-
1670년 네덜란드 선의 제주도 난파기 등 옛날 여행관련
자료들도 볼 수가 있었습니다.
크로노미터, 망원경, 나침반, 해시계, 육분의 등 1800년대에 사용하던
-
항해 도구들이 전시되어 있었고, 녹터널, 아스트롤라베 등 이름을
-
처음 들어 보는 옛날 항해 도구들도b구경할 수가 있는가 하면
-
야구공만큼이나 작고 귀여운 휴대용 지구의와
-
천구의도 볼 수가 있었습니다.
18세기의 '한글조선전도'와 조선후기 함경도 해안지도첩과
-
1837년 목판에 제작한 죽도제찰 등 옛날 지도들도 유심히
-
살펴볼 수가 있었고, 1800년대의 작품인 '도화소조도'와 '봉별시고'
그리고, '수군조련도' 병풍에서 조선 후기 수군의
-
위풍당당한 훈련 모습을 볼수가 있는가 하면,
동경에서 나고야를 거쳐서 교토까지,
-
그리고 교토에서 조선까지 일본의 주요 도시와 사찰,
신사와 명승지를 그린, 길이가 10미터나 되는 두 장의 그림
-
[귀로도중도]를 보며 조선시대에 통신사를 통한
-
한일 양국의 교류 경로를 하나하나 확인해 볼 수도 있었습니다.
전시장 끝 부분에서는 왕의 하사품으로 추정 된다는 멋진
-
조선후기 투구와 철갑상어 가죽으로 장식하고
-
의장용으로 사용되었다는 조선시대의 상어피쌍용검,
자개로 아름답게 장식한 조선후기의 나전이층농, 거북 등껍질로
-
화려하게 장식한 대모이층농,두 마리의 용과 구름 그림이 있는
-
조선 후기 '백자철화용문항아리'와 물고기그림이 있는
-
해주 항아리 까지 아름답고 자랑스러운
-
우리 문화유산들을 감상하며
감탄하고 자랑스럽게 느끼는 시간을 가져 볼 수도 있었습니다.
관람 시간
평일: 9시~오후 6시 토, 일, 공휴일: 9시~ 오후 7시
-
설날: 9시~오후 9시 매주 월요일 휴무
관람료 : 무료
대중 교통편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 정거장 3번 출구에서 무료 셔틀버스 이용
국립해양박물관 홈페이지: http:/knmm.or.kr/
'나의 지식 > 지식과 시사만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자란 꽃피우기 (0) | 2018.03.14 |
---|---|
엑셀파워포인터 한글윈도우7단축키 총정리 (0) | 2018.03.14 |
스테인리스 냄비부터 자동차까지, 우리 주변의 금속 관리하는 방법 총정리 (0) | 2018.01.17 |
데스크톱 컴퓨터가 사라진다 (0) | 2018.01.15 |
전기차와 자동차 시장의 미래는 (0) | 2017.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