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中庸과 심장의 휴식
인문학 中庸과 나의 패러다임을 갈무리함 향나무를 도끼로 찍으면 향나무는 그 도끼에게 향기를 묻혀준다 형평성(衡平性) 역동성(逆動性)지속성(持續性)은 중용(中庸)의 세가지 기둥 中庸 공자의 논어가 인(仁)을 말하고 있다면 중용은 친절하지 못한 책이고 이론이다 다분히 종교적인 색채까지 띠는 중용은 고대 동양에서의 리더들의 철학교과서 라고 말할 수 있다 요즘 중국에서 자리잡기 시작한 불교 철학이 제시한 사후세계 중심의 종교에 대응한 거대한 철학 즉 인간과 존재에 대한 우주론적 규명을 보여 준 것이 바로 중용이다 흔히 “중용스럽다” 는 표현은 치우치지도 변치도 않으며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사는 방식을 일컫는다 자정자왈(子程子曰)부편지위중(不偏之謂中) 부이지위용(不易之謂庸)주자왈(朱子曰) 중자(中子) 불편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