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어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끝까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의 동해 울릉도와 독도주변에 많은 매장량이 있는
메탄하이드레이트는 빙하기 이후 해저나 동토 지역에서
고압·저온으로 형성된 메탄의 수화물인데....
불타는 얼음’이라 불리는 가스라고도 하는 하이드레이트는
물과 가스가 바닷 속에서 만나 젤 타입으로 굳어진 천연가스 입니다.
메탄하이드레이트는 많은 메탄이 함유되어 에너지 밀도가 높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적습니다.
아름다운 우리땅 독도사진입니다
하지만 매우 불안정해 반드시 고압, 저온 상태에서 채취해야 하는
까다로운 물질입니다. 또 채취 과정에서 유출되기라도 하면
다량의 메탄 가스를 대기 중에 방출할 위험도 있습니다.
메탄 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온실가스 효과가 20배 이상 큽니다.
현재 하이드레이트의 개발 수준은 그 매장량이 막대함에도
개발 기술이 초보 단계이므로 러시아를 제외하고는
상업적 생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일본은 하이드레이트층에 대한 축척된 탐사 자료를 통해
1999년 11월에는 난카이 해구에서 시험 생산 체계에 돌입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상황에 발맞춰서 1998년에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 지역 파악을 위한 물리 탐사를 수행하고
염화나트륨(NaCl) 3wt퍼센트 용액에서 메탄 하이드레이트 평형 조건을 규명했다.
또한 압력에 따른 메탄 하이드레이트 형성 시간을 규명하고
울산 해역에서의 메탄 하이드레이트 안정 영역을 확인했다.
그리고 탄성파 탐사 자료로부터 메탄 하이드레이트 부존 가능성을 확인했다.
1999년에는 다공질 매체(porous media)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 특성 규명을 위한 실험장치의 자체 제작에 성공,
2000~2004년에는 산자부(현 지식경제부) R&D 센터 연구 과제로 수행
가스공사에서 연간 약 3.3억 원씩 투자 중이다.
현재 해수면 아래 2,800미터(수심 945미터, 해저 1,855미터)
지점에서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함유된 사암층 표본을 채취했으며
2015~2020년쯤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술적 위험과 시추에 어려움으로 잠정 중단됐습니다.
잠정적 추정에 의하면 이 지역의 하이드레이트 매장량은
약 6억 톤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거의 무한하다고 할 만큼의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
독도와 관련한 영유권 분쟁은 이제 완전히 다른 차원에서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사진은 제가 올린것이며
이글의 출처 :청소년을 위한 미래과학 교과서 - 신재생에너지)
이제 독도 영유권 분쟁이 단순한 역사적 영토 분쟁의 문제가 아니라
미래 에너지 자원을 확보하느냐 빼앗기느냐의 문제로까지 발전한 것입니다
'나의 지식 > 지식과 시사만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품상품 저렴한 구매를 위한 쇼핑사이트를 소개합니다 (0) | 2016.01.28 |
---|---|
포스코 포스텍의 이색 연구 성과 Best 5 (0) | 2016.01.14 |
알 수 없는” 하드웨어 오류를 빠르게 고치는 방법 (0) | 2016.01.08 |
PC를 새로 샀다면꼭 설치해야 할 무료 프로그램 15선 (0) | 2016.01.08 |
2016년丙申年)붉은 원숭이 띠 해와12지신 (0) | 2016.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