ぼくの春夏秋冬/思索하며 行動하는 삶

몰운대에 대하여

臥龍 李秉喆불잉걸眞劍 2008. 6. 17. 23:44
몰운대의 총면적은 506천㎡로 1972년 6월 26일 지방문화재 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었다. 부산의 3대(臺)라 하면
태종대,해운대,몰운대이다. 이 3대는 울창한 숲과 기암괴석에 둘러싸인 가운데
「海天萬里」의 바다 경관을 바라볼 수 있는 승경의 곳이다. 한때 몰운대가「沒雲島」란 섬이었다고 하면
지금은 육지와 이어져 있으니 고개를 갸웃거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낙동강 하구의 최남단으로 다대포 서남쪽 해발 78m의 몰운대는 아주 오래 전에는 몰운도란 섬이었다.
그것은 1763년 일본통신사 조엄(趙樟)이 해사일기(海擄日記)에 해운대와 몰운대의 경치를 비교한뒤
「몰운대는 신라 이전에는 조그마한 섬으로 고요하고 조용한 가운데 아름다워
아리따운 여자가 꽃속에서 치장을 한 것 같다」고 한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리고 1544년 2월의 中宗實錄에서도「몰운대」에 왜선의 후망처(지금의 감시소)로 봉수대를 설치할 것을 의논하고 있다.
그래서 西區誌는 중종실록의「몰운도」(지금의 몰운대)란 기록은 예부터 불러오던 지명이기 때문에 그리 쓴것이지
중종때는 이미 육지와 이어져 있었을 것이라 했다.

그러나 부산시가 편찬한「부산의 문화재」에서는 몰운대를 16세기까지는 섬으로 전해진다고 했다. 중종실록을 따른 것 같다.
신라 이전과 16세기 이전은 적게 잡아도 6백년의 거리가 있다. 한데 신라 이전을 말한 조엄의 해사일기도 함부로 그리 말했다고
보아지지 않는다. 그것은 조엄이 1757년 동래부사이다가 1758년에는 경상도관찰사가 되고
1763년에는 통신사로 일본으로 갔다가 대마도에 들러 대마도에서 고구마를 싹튀워 줄기를 뻗쳐서는 그 줄기를 심어 가꾸는
고구마 재배법과 저장법을 소상히 알아 가지고 귀국할 때 씨고구마를 가져와서 그의 연고지인 동래와
제주도에 그 재배법과 저장법을 퍼뜨린 사람이기 때문이다.

때(1764)의 동래부사는 姜必履였는데 자기보다 7년전의 부사 조엄에게서 고구마 재배법을 익힌
姜必履는 甘藷譜란 책까지 내어 고구마재배를 지방민에게 지도 장려했다.
그러니 동래가 우리나라에서 맨 처음의 고구마재배지가 된다. 그러한 연고를 가진
조엄이 쓴「해사일기」고 보면 몰운대는 중조이전까지 섬이었을지도 모른다.

몰운대의 이름은 낙동강 하구에 안개와 구름이 끼는 날이면 그 안개와 구름에 잠겨서 섬이 보이지 않는다고
구름속에 빠진 섬이란 시화적(詩畵的)인 이름이 되었다.
이곳에는 신석기시대에 이미 사람이 살았다고 여겨지는 패총을 남기고 있다.
임진왜란때 釜山浦 海戰에서 中軍將의 직책을 맡았다가
부산포에서 전사한 정운공의 사적을 적은 鄭運公殉義碑가 이 몰운대에 있다.
多大浦僉使營의 객사도 다대포
(지금의 다대포초등학교 자리)에서 옮겨져 복원이 돼 있다.

낙동강 하구가 바다와 어우러지고 태백산맥의 마지막 끝자리가 되는 이 몰운대는 경관이 아주 뛰어나
시인 묵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았던 곳으로 멀리서 바라보는
그 아름다움을 그대로 노래한 동래부사 李春元의 시(詩)가
동래부지(東萊府誌)에 전하는데 이 시를 돌에 음각한 "몰운대 詩碑"를 1999.6.12 사하지역발전협의회에서 건립하여
이곳을 찾는 사람들에게 몰운대의 아름다움을 전해주고 있으며, 현대적 의미로 해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浩蕩風濤千萬里
白雲天半沒孤臺
扶桑曉日車輪赤
常見仙人賀鶴來
호탕한 바람과 파도
천리요 만리로 이어졌는데
하늘가 몰운대는 흰구름에 묻혔네
새벽바다 돋는 해는 붉은 수레바퀴
언제나 학을 타고 신선이 온다.

그리고 우리가 일반적으로 몰운도를 몰운대라 하지만
몰운도에는 몰운대와 화손대(花孫臺)의 두 대(臺)가 있다.

화손대는 몰운도의 남쪽끝 바다로 면한 동쪽 끝의 대를 말하고,
몰운대는 남쪽끝 바다를 면한 한가운데의 대를 말한다.
또한, 부산에서 섬이 많은 곳도 이 몰운대가 있는 다대포 주위다. 아득한 바다 저 멀리로 떨어져 부산의 연안을 지키는
남형제도와 북형제도, 그리고 목도, 금문도, 동섬, 동호섬, 팔봉섬, 솔섬, 오리섬, 쥐섬, 모자섬, 자섬 등
모두 몰운대(다대동 산144번지)와 함께 다대동에 지번 지적이 올려져 있는 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