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1년 4월 13일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는 위기에 처한 나라를 위한 파병 출정식이 있었습니다. 그들이 돕고자 하는 나라는 바로 대.한.민.국! 약한 나라의 서러움을 너무나 잘 아는 그들은 6.25 전쟁이 발발한 대한민국을 위해서 출정에 나섰습니다.
그들은 누구보다도 가장 용감하게 전쟁에서 싸웠습니다. 참전한 6,037명 중에 123명의 전사자와 536명의 부상자를 냈지만, 단 한 명의 포로도 없었으며, 253번의 전투에서 253번의 승리를 거두게 됩니다.
어떤 참전용사들은 월급 일부를 계속해서 모아 부대 안에 ‘보화원’이라는 보육원을 만들어 전쟁고아들에게 음식을 나누어 주고, 잠을 잘 때는 두려움에 떠는 아이들 곁에서 지켜줬다고 합니다.
강뉴부대원들은 가족을 뒤로 한 채 이름도 모르는 나라를 위해 싸우러 떠났습니다. 누구 한 명 강제로 향한 사람은 없었습니다. 저마다의 사연은 다르지만, 그들을 도와야 한다는 마음은 같은 곳을 향했기 때문입니다.
그중 형제가 전쟁터로 향한 가족이 있었습니다. Desta, Mekonen 형제는 황제근위병이란 멋진 자리도 버렸습니다. 그리고 만류하는 가족들까지 뒤로한 채죽음이 기다리는 땅을 향해 형제가 뜻을 같이한 것입니다.
64년이 지나 빛바랜 사진 뒤에 암할릭어의 친필로 그들의 심정이 고스란히 기록돼 있었습니다. ‘한국의 상황은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열악하였다. 생전 처음 겪는 눈은 신기하기도 하였으나, 추위는 무척이나 고통스러웠다.’
그런데 모든 걸 버리고 떠난 전쟁터에서 형 Desta씨는 싸늘한 주검이 되어 왔습니다. 형의 죽음은 조국을 위한 것도 아니고, 가족을 위한 것도 아닌 대한민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것입니다.
그렇게 목숨 걸고 싸웠건만 6.25 참전용사들이 에티오피아로 돌아왔을 때 조국의 상황은 나빠지고 있었습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목축업으로 생계를 이어가던 에티오피아에서는 7년간 계속된 가뭄으로 가축들이 떼죽음을 당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 소득이 80$가 채 되지 않았을 때, 에티오피아는 국민소득 3000$가 넘었던 나라였지만 가뭄으로 기울기 시작한 것입니다.
게다가 멩게스투의 쿠데타로 인해 공산국가가 되었습니다. 공산주의와 싸우겠다고 스스로 지원했던 참전용사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핍박을 받게 되었습니다.
재산을 몰수당하고 고문을 받는 참전용사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가 되어버린 에티오피아, 그중에서도 가장 비참한 사람들이 되었습니다.
따뜻한 하루는 2016년부터 에티오피아 강뉴부대를 도왔습니다. 처음 방문했을 때 220분이 생존해 만날 수 있었지만, 지금은 170분만… 한분 한분 돌아가실 때마다 ‘강뉴’라는 이름도 우리들 기억 속에 잊히는 것이 아닐지 안타까운마음이 남아 있습니다.
과연 대한민국 국민 중 얼마나 많은 사람이 이 가슴 아픈 역사를 알고 있을까요? 지금도 강뉴부대 참전 용사분들은 한국에 대한 각별한 사랑과 세상 누가 뭐라고 해도 옳은 일을 했다는자부심을 간직하고 계셨습니다.
그동안 따뜻한 하루에서는 강뉴부대를 알리며 강뉴부대뿐만 아니라 그들의 후손들을 위한 결연 사업 및 장학 사업에도 함께 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어려운 그분들의 삶과 후손들을 위해 금전적으로도 마음으로도 모아야 할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