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지 말아야 할 그들이 잊혀지고 있습니다
.
1951년 4월 13일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는 위기에 처한 나라를 위한
파병 출정식이 있었습니다.그들이 돕고자 하는 나라는 바로 대.한.민.국!
약한 나라의 서러움을 너무나 잘 아는 그들은6.25 전쟁이 발발한
대한민국을 위해서출정에 나섰습니다.
그들은 누구보다도 가장 용감하게 전쟁에서 싸웠습니다.
참전한 6,037명 중에 123명의 전사자와 536명의 부상자를 냈지만,
단 한 명의 포로도 없었으며, 253번의 전투에서
253번의 승리를 거두게 됩니다.
바로 그들은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의 강뉴부대입니다.
처음엔 대한민국의 어디에 있는 나라인지도 모른 채 전쟁에 임했지만,
고국에 돌아간 지금 여전히 한국전의 생생한 기억을
가슴속에 간직하며 살아가고 계십니다.
6월 15일~25일.
멜레세 테세마, 에스티파노스 게브레메스켈 참전용사 2분이
머나먼 에티오피아에서 대한민국을 방문하셨습니다.
따뜻한 하루를 비롯한 여러 단체의 도움으로
뜻깊은 일정을 잘 마쳤습니다.
그동안 따뜻한 하루에서는 강뉴부대를 알리며
강뉴부대뿐만 아니라 그들의 후손들을 위한 결연 사업 및
장학 사업에도 함께 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어려운 그분들의 삶과 후손들을 위해
금전적으로도 마음으로도 모아야 할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강뉴부대 무통장 후원 계좌 (예금주 : 사단법인 따뜻한 하루)
- 국민은행 : 757101-04-132242
따뜻한 하루는 2016년부터 에티오피아 강뉴부대를 도왔습니다.
처음 방문했을 때 220분이 생존해 만날 수 있었지만,
지금은 170분만 살아 계십니다 ...
한분 한분 돌아가실 때마다 '강뉴'라는 이름도 우리들
기억 속에 잊히는 것이 아닐지 안타까운 마음이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도울 수 있도록 따뜻한 관심 부탁드립니다.
그분들의 대한민국을 위해 흘린 피와 희생을 생각하며
앞으로도 끝까지 함께 돕겠습니다.
윗글의 출처 : 따루에서 받은메일
에티오피아에 관심을 갖게 되어 에티오피아의 역사와
현재에 대하여 추가 편집했음
목숨 걸고 한국전쟁 때 우리를 도왔지만, 지난 70년간 핍박받아 온
에티오피아 강뉴부대 이야기를 우리는 알아야만 합니다
우리나라는 덕분에 잘사는 나라가 되었으니
이제 우리나라가 도와주어야만 합니다
고맙습니다 강뉴부대 용사님들
에티오피아인들은 기원전 1000년 경 , 이스라엘의 솔로몬 왕과 지혜로운 스바 여왕 사이에서 낳은 아들 메넬리크 1세가 북에티오피아로 이주하여 에티오피아를 건국했다고 믿는다.
고대에는 발원한 도시의 이름을 따 악숨 왕국으로 불렸다. 악숨 왕국은 홍해를 건너
남아라비아를 영토로 삼고 메카에 따라갈 정도로 크게 세력을 떨쳤다. 4세기 경 기독교를
받아들여 국교로 정했고 6세기경 이슬람의 발흥으로 영토를 빼앗기고 쇠퇴하여 940년에
멸망한다. 12세기 초반에 자그웨 왕조에 의해 에티오피아 제국이 건설되었으며 1270년
예쿠노 암라크 황제가 일으킨 솔로몬 왕조가 1974년 쿠데타로 군주제가
폐지될 때까지 존재했다.
에티오피아 고원을 중심으로 아프리카 문명 중 이집트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고유한 문자와
국가체제를 유지해 왔다. 19세기에는 이집트, 이탈리아의 침략까지 막아내어 독립국으로써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렸다. 1931년에는 입헌 군주제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1935년 10월 2일부터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략이 개시되었고 1936년 5월 2일 , 이탈리아의 2차 공격에
패배하여 황제가 예루살렘으로 망명을 하기도 하였다. 마침내 5월 5일 오후 5시(역사적
대사실을 기념하기 위하여 일부러 택한 날짜와 시간이다.)를 기해 이탈리아군은 수도
아디스아바바에 입성하였다.[1]1941년, 영국의 도움으로 이탈리아군을 몰아내었으며
외국으로 망명 간 황제는 복위하여, 에티오피아를 재건하는 데 힘썼다.
그 후, 1952년 에리트레아와 연방을 맺었고 1962년에는 자국 영토로 병합하였다.
한국 전쟁 때는 대한민국에 병력을 지원하여 123명의 전사자와 536명의 부상자를 냈다.
1960년 로마 올림픽 때는 육상선수 아베베 비킬라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1974년에는
멩기스투 소령을 비롯한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쿠데타로 황제가 폐위되고, 제정도 폐지되었다. 군부는 에티오피아를 사회주의 국가로 선포하였고, 군부의 공포정치에 의하여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으며, 2천년 동안 이어져 온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교회가 문을 닫는 등 박해를 받았다.
1987년 국민투표에 의하여 군부의 기구인 에티오피아 임시 군사 평의회(EPMAC)가
폐지되었고, 멩기스투는 초대 주석으로 당선된다. 그러나, 에티오피아 내전에 패배한
멩기스투는 1991년에 대통령 직을 사임하였다. 그 이후, 에티오피아는 민주화되었다.
한편, 에티오피아의 영토였던 에리트레아는 1993년에 독립하였다.
하지만 사회주의 정권에 의해 피폐되어버린 경제를
다시 되살려야 하는 등 많은 일이 남아 있다.
지리(편집)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의 뿔 에 위치한 내륙국이다. 북쪽으로는 에리트레아, 동쪽으로는
지부티와 소말리아, 남쪽으로는 케냐, 서쪽으로는 수단, 남수단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동아프리카 지구대가 지나간다. 전체 면적은 1,127,127 km²이며
세계에서 27번째로 큰 나라이다. 볼리비아와 크기가 비슷하며 알래스카 주의 3분의 2에
해당한다. 에티오피아의 주요 부분이 아프리카의 뿔에 해당하여
아프리카 전체의 가장 동쪽 부분에 해당한다.
정식 명칭은 에티오피아연방민주공화국
(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이다. 면적은 110만 4300㎢,
인구는 9946만 5819명(2015년 현재)이며,
수도는 아디스 아바바(Addis Ababa)이다.
<P class=desc_section>국토의 절반이 고원이며, 저지대는 아주 덥고
비도 거의 내리지 않아 사막을 이룬다. 주요 산업은 커피 생산이었으나
국제수지 악화로 국민소득은 적은 편이다. 천연자원은 풍부하지 않으나
금·은·동 등 광물은 비교적 많이 생산ㅇ된다
<P class=desc_section>2015년도 국민총생산은 576억 달러이고,
1인당 국민소득은 619달러이다
이 나라는 이원집정제의 공화제로, 총리가 실권을 가지며,
의회는 양원제로, 임기 각각 5년의 상원(108석)과
하원(547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정당으로는 에티오피아인민혁명민주전선(EPRDF),
민주연합당(UEDP), 오로모 해방전선(OLF) 등이 있다
행정 구역(편집)에티오피아의 행정 구역.
기본적으로 연방 정부로서 9개 주(티그레 주(11), 아파르 주(2), 암하라 주(3),
베니샹굴구무즈 주(4), 감벨라 주(6), 하라리 주(7), 오로미아 주(8), 소말리 주(9)),
남부 국가 민족 주(10))와 2개의 특별시(아디스아바바(에티오피아의 수도(1),
디레 다와(5))가 존재한다. 각 지역에는 별도의 행정 자치권을
행사하는 지방 정부가 있다.
정치(편집)
국가 수반은 총리로, 의원 내각제는 1987년에 도입되었다.
의회 제도는 양원제이며, 1995년부터 연방제를 시행했다.
군사(편집)
방위는 국방부(Ethiopian National Defense Force)에서 책임을 지며
육군과 공군과 헌병이 존재한다. 예전에는 해군(1956년~1991년)도 존재하였으나
에리트레아가 독립한 이후, 해군 전력이 없다.
병력은 182,500명이며,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다.
주민(편집)
암하라족, 오로모족, 티그레족이 3대 종족을 구성하지만 전체적인 세부 부족 및
언어는 대략 80개에 달한다. 한편 가장 많은 인구와 지역을 차지하는 것은 오로모족
(오로모인)으로 이들은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중심으로 중부 및 중서부,
중남부 지역에 걸쳐 거주하고 있다. 다음으로 많은 것이 암하라족이며
티그레족이 그 뒤를 잇는데 현재 집권 세력은 티그레족 출신이다. 암하라족은
1970년대 공산정권이 수립되기 이전까지 약 2,000년간 솔로몬 왕조를 구성하고 있었다.
인구 (편집)
이 나라는 아프리카에서 나이지리아에 이어 2번째로 인구가 많으며 내륙국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연평균 인구 증가율은 2.92%,
유아 사망률은 1,000명당 99.96명(1999년 기준)이다. 2016년에 드디어 1억명을 달성하였고, 그래서 에티오피아는 나이지리아 다음으로 아프리카에서 인구가 많다.
언어 (편집)
1994년 헌법 5조 2항에 "암하라어는 연방정부의 업무어이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9개주 2개 자치시는 각주별로 독자적으로 공용어
(일부는 "업무어"라고 표현)도 인정되고 있다.
영어는 행정 언어로서 많이 사용된다. 인도의 산스크리트어나
유럽의 라틴어처럼 그으즈어라는 사멸된 고대 언어도 존재한다.
그으즈어는 정교회의 전례에 사용된다.
종교
에티오피아는 역사적 뿌리가 깊은 기독교 국가로, 국민의 43.5%가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들이다.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비 칼케돈 계열 기독교 교회 즉,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따르지 않는 오리엔트 정교회의 일파이며, 멩기스투 대통령 치하에는 교회가 문을 닫고 사제들이
체포되는 등 탄압을 받았다. 에티오피아 정교회 이외의 기독교 교파로는 성공회를 비롯한
개신교(KHC 등의 복음주의적인 교단이 대부분)가 있다. 그 외의 종교로는 이슬람교가
존재하며 기타 샤머니즘 성격의 토착 신앙도 존재한다. 조사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정교회 43.5% 개신교 18.6% 가톨릭 0.7% 이슬람교 33.9%
전통종교 2.6% 그 외 0.7%이다
문화 (편집)
공용어인 암하라어는 그으즈 문자라는 고유의 문자를 사용한다. 그으즈 문자는
남아라비아 계통을 잇고 있는 유일한 문자이다. 기본적으로 자음 문자에 모음 기호의
변형을 통해서 음의 변화를 표시하는 음절문자이다. 그레고리력 외에 독자적인
에티오피아력을 사용하고 있다. 스포츠 : 육상 경기가 발달하였으며,
축구는 아프리카 컵에 나간 것이 유일하다.
대외 관계
대한 관계 (편집)
에티오피아는 남북한 동시 수교국이다. 대한민국과 에티오피아는 1963년 12월 23일에
수교하였다. 수교 이전인 1950년 한반도에서 일어난 한국 전쟁에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에서 남아프리카 연방과 함께 더불어 전투병력을 파견하였다. 에티오피아 전투병력은 황제의
친위대로서 한국 전쟁에서 최정예 군인에 걸맞은 전투 성과를 내고 명예롭게 귀국하였다.
1974년에 입헌 군주제가 폐지되었는데 멩기스투 공산주의 정권은 황제를 살해하고
암매장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그들은 마르크스주의에 근거한 공산주의 체제를 표방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가까운 관계가 되었다.
공산정권은 한국 전쟁 참전 용사들을 핍박하였으며
많은 참전 용사들이 죽고 다치고 고국을 등질 수밖에 없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는
불안정한 국내 사정(내전)으로 불참하였다 1991년에 옛 동유럽 공산주의 정권들의
몰락과 남북동시 유엔 가입, 멩기스투 공산주의 정권 종식과 멜레스 제나위 총리의
집권으로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기위해 노력중이다.
1969년 5월 의료기술협력 협정을 체결한 이래 1992년 11월에 경제·기술협력 협정,
1998년 10월에 문화 협정, 2003년 4월에 무역 협정 등을 체결하여
친선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2015년 현재 1억 6883만 달러로
백신, 화학제품 등이 주종목이고, 수입액은 5543만 달러로 커피,
참깨 등이 주종목이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경남기업,
명성병원 등이 진출해 있으며, 약 460명의 한국인이 체류하고 있다
대미 관계(편집)
이 나라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국으로 참전하여, 국제 연합의 창설회원국이 되었다.
제정이 폐지되기 전까지는 미국의 지원을 많이 받았으며,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케네디 대통령을 만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멩기스투 정권의 집권 이후
미국과의 관계가 소원해졌다. 1991년에 멩기스투 정권이 전복된 이후,
미국과 다시 협조 관계를 맺고 있다.
기아 문제(편집)
에티오피아의 기아 문제는 심각한 상태이다. 매년 아일랜드의 NGO인 컨선월드와이드
(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 기아 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가 협력하여 발표하는 세계 기아 지수(GHI)에 따르면 2016년 에티오피아의 기아지수는 100점 만점 중 33.4점으로 가장 심각한 기아점수를 기록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46.1점과 비교해봐도 심각한 수준이다. 이는 조사 대상이었던
118개의 개발도상국 중 107위에 해당하는 수치로
상당한 기아 수준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ぼくの春夏秋冬 > 思索하며 行動하는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마운 내딸들??시집 안가겠단다 (0) | 2018.07.22 |
---|---|
움직이자 (0) | 2018.07.18 |
커뮤니티란 무엇일까 (0) | 2018.06.28 |
[스크랩] 당당한 중년 `액티브 시니어`로 살고 싶다면 (0) | 2018.05.01 |
인생은 사람과 만나는것 (0) | 2018.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