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계에 매우 드물게 존재하는 금속 원소’라는 의미의 ‘희토류’ 로 명명
최근 들어 미-중 무역전쟁에서 중국이 희토류를 미국에 대한 압박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희토류(稀土類, Rare Earth Elements)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회 민중당 소속 김종훈 의원은
최근 북한의 희토류 매장량이 4800만 톤에 이른다며 남북자원 협력을 위한
유엔(UN)대북제재 해제를 촉구하고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이날 김 의원은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대부분을 중국이 차지하고 있어 희토류를 전략적 무기(?)로 활용할 수 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지난해 총 6935만 달러 상당의 희토류를 수입한 바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희토류의 주요 수입국은 중국이 42%로 가장 많았으며,
일본 39%, 프랑스 12% 순이라고 김 의원은 주장했다. 김 의원은 "희토류를 원활하게
공급받지 못할 경우 상당한 곤경에 빠질 수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면서
"북한은 세계적으로 희토류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 중의 하나"라고 주장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실제로 북한의 희토류 매장량은 최대 4800만 톤에 이른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중국이 4400만톤, 브라질과 베트남이 2200만톤, 러시아 1200만톤 규모로 추산, 북한의 희토류 매장량이 어느 국가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남북 협력 진전 여부에 따라 우리나라의 희토류 공급 중단 걱정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현재는 UN의 대북제재 영향하에 있는 관계로 희토류를 포함한
다양한 광물자원의 남북 교류사업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 "희토류를 포함한 다양한 광물자원의 남북 교류 협력이 우리 경제의 활로를 개척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도 있다"면서 "UN의 대북 제재가 빠른 시일 내에 해제돼 희토류 등
남북 광물자원 교류 협력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고 주문했다.
한반도광물자원연구센터는 지난 19일 서울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센터건물에서 ‘희토류(rare earth)
자원전쟁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제1차 특강 및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날 특강 및 토론회에서는 김동환 국제 전략자원 연구위원장이 연사로 나서 특강을 했다.
김동환 위원장은 ‘희토류 자원전쟁’의 저자이며 남호주대 국제학 박사 및 교수를 역임했다.
◇국가 간 외교에도 영향을 미치는 희토류= 2010년 9월 7일, 동중국해 일부 섬들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 간의 영유권 분쟁에서 일본이 중국 선원을 구금시키자
중국은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금지라는 ‘초강수 경제적 압박’으로 맞대응하고 나서자
일본은 체포했던 중국 선원을 즉각 석방하는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한편, 광물자원공사는 올해 6월말 기준 중국 서안맥슨 광산(생산사업)과 남아공
잔드콥스드리프트 광산(탐사사업) 등 2곳의 희토류 생산 및 탐사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등
모두 12개국 23개(생산 13, 개발 5, 탐사 5)의 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를 수행 중에 있다.
☞ 희토류(稀土類, Rare Earth Elements)
원소기호 57번부터 71번까지의 란타넘(란탄)계 원소 15개와, 21번인
스칸듐(Sc), 39번인 이트륨(Y) 등 총 17개 원소를 총칭한다.
희토류는 물질의 지구화학적 특성상 경제성이 있을 정도로 농축된 형태로는 산출되지 않고
광물 형태로는 희귀함에 따라 ‘자연계에 매우 드물게 존재하는 금속 원소’라는
희토류로 이름이 붙여졌다. 출처 : 대한민국 경제의 힘, 에너지경제신문> 2019.07.23
참고로 추가하는글 : 희토류는 스마트폰, 카메라, 컴퓨터, 삼파장 램프,
LCD 연마광택제는 물론 하이브리드 자동차,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등 차세대 산업에도 필수적인 금속이다.
그래서 흔히 희토류를 21세기 산업의 비타민이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