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기위한 영적인 실천 부자로 가는 길(영적인 실천방법)
부자가 되기 위한, 영적인 실천방법이 있다
어쩌면 이것은 한마디로 압축하자면
미국의 수많은 백만장자를 탄생시켰던 나폴레온힐의
놓치고 싶지않은 나의 꿈 나의인생이라는 책에서의
성공법칙중에서 핵심 PMA패러다임 (Positive Mental Attitude)
즉 긍정적인 정신자세를 갖고 자기암시로 잠재력을
일깨워 발휘할수있는 모티베이션을 가지면
자기목표를 달성할수 있다고 믿으며 나 스스로가
모티베이션을 받기위해 정리해보았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는, 다양한 모습의 사람들이 있고
수 많은 일들이 서로 얽혀있다. 따라서 우리 주변에는
우리가 원하던 원하지 않던 삶에 보루또(최악)에서
밀레오레(최고,최선)까지서 영향을 끼치는 사건이나
일들이 시시각각으로 발생합니다. 그러한 와중에서,
우리와 아주 훌륭한 조화를 이루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전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완전히 상극을 이루는 것들도 있으며,
그 중간에 해당하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들도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세상사의 모든 일들이,
우리의 생각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의 좋고 나쁨과는
무관하게, 우주의 제1법칙인 끌어당김의 법칙이
자동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많은 일들이 우주의 제2법칙인“의식적 신념의 법칙”에도
지대한 파급효과를 발생하여, 우리의 의지와 생각의 조절에 .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주의 제3법칙인 “관용과 이해의 법칙”은 한마디로
이를 어떻게 취급하고 대응해야 하는가에 관한
하나의 관념적 법칙인 것입니다.
우리가 괴롭게 느끼는 어떠한 상황을 보면서, 자신이
그 상황을 중지시키거나 변화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전혀 없다고
결정했다면, 우리는 지금 그러한 상황을 억지로 참아내며
묵인하고 있는 상태인 것입니다.
그것은 “관용과 이해의 법칙”과는 크게 다른 현상입니다.
이 법칙은 우리가 자신의 내적존재와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어떤 방법을 발견하는 하나의 테크닉입니다.
우주의 제3법칙,관용과 이해의 법칙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담겨 있다.
“이 세상에서 나는 유일한 존재이다.
내가 둘이 아니고 유일무이한 사실이 기쁘고 행복하다.
이러하듯 당신 역시 유일한 존재이며, 나와 매우 다를 수도 있지만
그것 역시 자연스러운 사실이다. 당신과 내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이
세상을 좀 더 창의적이고 다양하게 하는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신이 나와 크게 다르다고 해서 나는 그것에 어떤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당신은 당신만이 가질 수 있는 개성이 있음을 인정하기에
서로 더불어 살아갈 숭 있는것이리라
나는 이 시공간 현실의 정보들을 선택해서 내게 맞게 필터링하므로써
기분 좋게 느껴지는 것들에 초점을 맞추는 일을 통해
자기 성장과 진화를 도모한다.
이 법칙은, 우리의 내적 존재인 근원의 광대한 관점으로부터
강력하게 지지를 받고 있으며 세상을 살아가는
가장 현명한 태도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타인을 인정하라 이렇게 말하면서도
이 세상에는 일정한 집단적 원칙에 따르지 않는 소수의 사람들을
우리는 가차없이 처단하는 사례가 당연시 되고 흔하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타인의 행동을 흔쾌히 관용하고 이해하지 않는 이유는,
타인들의 행동이 자신이 바라는 행동이 아니기 때문이리라.
그래서 그 행동이 자신에게 일어날 지도 모른다는
심한 두려움을 갖고 있기 때문이지싶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없고, 용인할 수 없는
유별난 타인의 행동들이 자신의 가패러다임 속에 파고드는 것을
좋아할 사람은 없다. 그러한 것을 보았을 때
기분 나쁜 감정을 느꼈다면 그 것은 받아 들여져서는 안 된다는
내적존재의 신호인 것이리라. 그러나 문제는 여기서 야기된다
자신이 원치않는 것들을 밀어내려고 하면 할수록 방어하고 배척하려고
애를 쓰면 쓸수록 그것은 우리에게 더욱 가깝게 닥아 온다
대상에 대하여 아닌척 하지만 defence mechanisum 이
작동되어 rationalization을 하기 일쑤기 때문이다
자연적으로 인위적으로 끌어당김의 법칙이 어김없이 작동하는 것이다.
일종의 파동이 연관 지어져 일렁거리는 이 법칙에는 그 어느 누구도
어떤 사실도 예외가 없다는 것은 긍정적으로 잘알려져 있다.
우리의 의식과는 관계없이 이 법칙이 존재하는 이유는,
이 엄청난 규모의 다양성과 대조가 존재하는 광활한 지구에서도,
우리가 기쁘고 즐겁게 살아가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서다
영적인 실천방법을 실행하고자 우주의 법칙을 충분히 이해해야,
비로소 이 법칙을 내것으로 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일을 결정짓게하는 요소들은 대단히 많다
잠간 다른 예를 들어 천부경의 슛자를 응용한다든지
간단히 일부만 소개하자면
1,2,3은 천지인(원방각)(양음중)으로서 우주의 질료이고
4,5,6은 질료의 배합에 의한 기운으로서의 작용을 나타내며
7,8,9는 그 작용으로서 생겨나는 결과물이라고 한다.
10은 현상계로서 드러난 펼쳐진 우주 삼라만상을 의미하는것이라한다.
그러므로 1,2,3 의 하늘 땅 사람은 물질로서
형상화되기 이전의 하늘과 땅과 사람을 의미하고
7,8,9 의 하늘 땅 사람은 물질로서 형상화된 이후에 펼쳐진
우주의 하늘과 땅과 사람을 의미한다.
천부경은 가로 9자 세로 9자, 총81자의 정사각형의 맨 가운데 숫자가 6이다.
따라서 6이라는 숫자는 바탕의 수가 된다.
천부경은 문자 50자와 숫자 31자(1부터10까지)로 81자로 되어있다
숫자 31자를 모두 더하면 99가 된다
.99의 의미는 영원무궁이다. 81자 하나 하나의 수치는 1/81=01234567890123456789...
1-9까지 자연수가 차례로 무한히 반복된다.
10은 현상계로서 드러난 펼쳐진 우주 삼라만상을 말한다
이것은 우주 대자연이 확대와 순환의 원리에 따라 움직인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人 中 天 地 一 (인중천지일) 사람안에서 하늘과 땅이 하나가 된다.
미국 CIA에서 세계의 모든 종교의 경전을 수집해서 분석하고
풀이도 해보았지만 유일하게 한민족의 천부경만은 해석하지 못했다고 하는데
천부경숫자를 일상생활에 적용해보면 어떨까 싶어서
천부경숫자를 언급하고 일상적인 숫자의 연관성을 고찰해보았다
그러고 보면 사람들마다 좋아하는 숫자 싫어하는 숫자도
국민 개개인마다 각양각색이다
중국인들은 한자권 문화라서 死와 같은 발음인 숫자 4를 싫어한다
7은 좋아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좋아하지 않는 7의 이유는 역시 비슷한 발음의 다른 한자어 때문이다.
- 아내란 뜻의 처(妻[치])도 마찬가지인데 7757라고 해서 气气我妻 라고 하면
아내 때문에 화난다라는 의미로 부부사이가 안 좋다라는 의미가 된다
숫자 6(liu) 순조롭다, 일이 잘풀린다. 돈이 들어온다 流利의 流과 발음이 비슷하며
숫자 8(ba)은 중국어 발음이 pa(빠)인데 發의 fa 와 발음이 비슷하고,
發자에는 發財 즉 돈을 벌다 재산을 모으다 라는 의미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9는 전통적으로 좋아하는 숫자로 과거의 황제들은
일년에 아홉차례 하늘에 제사를 지냈고 황제가 입는 용포엔 아홉 마리의 용이 있었다.
9는 특히 결혼식 날짜에 많이 애용되는데 9의 발음과 久[지우]의 발음이 같아서
오래도록 부부가 같이 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런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9가 4개 들어가 있는 번호판이 한국 돈으로
약 1억 6천 4백만으로 경매에서 낙찰되었고
휴대전화 번호 6666 8888 9999등은 돈을 내고 사야만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중국인들은 66세의 나이에 대해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런 심리적 난관을 넘기기 위해서 중국 동북 지역에서는 예순 여섯 생신이 되면 자손들이 예순 여섯 개의 작게 만든 만두를 만들어 올린다.
이것을 한번에 다 먹게 되면 예순 여섯의 고비를 넘길 수 있다고 믿는다.
또 꺼려하는 나이는 45세, 73세, 84세이다. 특히 45세엔 나이를 물었을때
작년에 44살 이었다. 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다.
공자는 73세에 맹자는 84세에 죽었는데 아마도
이것은 유학자들에 의해서 기피해야 할 나이로 보았던 영향이라고 하며
100세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 습관도 있다. 사람들이 백세를 산다는 것이
하나의 이상으로 생각되어 100세를 넘기게 되면 신이 질투 할까봐
나이를 물어보면 99세에서 멈추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오늘날 숫자에 대한 숭배는 중국인들의 자기 합리화 또는
자기 위안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숫자를 이용하여
신상에 일어나는 상황이 자신에게 유리한 것으로 전환될 수 있게끔
자기암시의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지싶다
일본인은 죽을 死와 괴로울苦 자가 연상되므로 싫어하는숫자는 4, 9
좋아하는 숫자는 7, 7은 서양문화의 영향으로 lucky 7)
8은 한자 '八' 의 모양이 점차 번영한다는 모습으로 보이기 때문에 좋아한다
우리나라 사람이 싫어하는 숫자 4는 일본처럼 죽을 死 가 연상되어 싫어하고
3(만세 삼창 삼세판등으로)
5(동양문화권에서 천지의 조화) 7(서양문화 영향)을 좋아한다
미국과 유럽쪽에서 싫어하는 숫자는 13
( 예수 그리스도가 13일의 금요일에 죽어서 또는 예수를 팔아넘긴
유다의 풀네임 단어수가 13자) 설이 유력하다고 한다 좋아하는 숫자는 lucky 7
민족마다 글자모양이나 이유가 있지만 대부분 숫자의 발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