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매그너스 George Magnus
"중국 다음은 인도와 아프리카!"
젊은 세대를 통해 성장하는 신흥국의 성장세가 무섭다.
그러나 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선진국에도
이를 해결할 방안은 분명히 있다. 고령화라는 문제를 두고
조지 매그너스와 인터뷰를 통해 신흥국과 선진국의 상황을 살펴본다.
조지 매그너스(George Magnus)
UBS 투자은행의 선임 경제 고문을 맡고 있는 조지 매그너스는 2007년 초 미국의 신용 경색을 예언한 몇 안 되는 경제 전문가로 유명하다.
1987년부터 1995년 사이에는 SG워버그에서 채권 담당 연구 책임자로 활동했으며 1995년부터 1998년까지는 UBS에서 수석 국제 이코노미스트로 활약했다.
이른바 100세 시대다. 이는 달리 말하면 노후 자금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의미다.
정년 퇴직 후 최소 20년 동안 일정한 수입 없이 살아가기 위해서
미리 자금을 모아두거나 노후의 소득 창출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렇다면 무엇을 해야 할까.
여기에는 다양한 방안이 있다. 퇴직금을 받아서 사업을 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노후 보장용 펀드를 들거나, 역모기지를 이용해 주택 자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아니면 상업용 부동산을 구입해
매월 임대 수익을 얻으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어쨌든 다양한 방법으로
미래를 대비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추세가 강화될수록 고령화 사회에서는 부가 창출되고
분배되는 방식이 바뀌고 소비 패턴도 변할 것이라 전망한다.
또 위험성이 큰 주식보다는
안정적인 펀드나 채권 등으로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그만큼 향후 금융시장의 변화가 예상된다.
미시적인 금융 투자 얘기는 제쳐두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고령화는
또 다른 양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전 세계,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고령화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령화가 한 국가의 변화뿐 아니라
세계경제 심지어 패러다임의 변화까지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선진국의 고령화는 경제의 핵심 동력인 노동력을 약화시킬 것이고
이로 인해 선진국은 신흥국에 자신의 자리를 내주어야 할지 모른다.
‘고령화 시대의 경제학'(원제: The Age Of Aging)을 저술한
조지 매그너스(George Magnus)는
향후 인구에서 동양이 강자가 되고 서구가 약자가 될 것으로 예측하면서
이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진단을 내렸다.
그렇다면 해결 방안은? 그는 책에서 고령화가 거시경제, 국제 안보,
세계화 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면서
서구 사회가 지금의 생각을 버리고 현실적 태도를 취해야 한다고 일갈했다.
국제사회는 아프리카, 중동, 중남미 등의 신흥국을 인정하고
이들 나라를 대화에 참여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지정학적 변화,
기후 변화 등 모든 문제에 대해 협력한다면 인구구조로 인해
국제 안보가 훼손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고 설파했다.
그는 또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스페인 영화감독
루이스 부뉴엘(Luis Bunuel)의
“사람이 치즈가 아닌 이상 몇 년간 숙성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는
말을 인용하면서 단순히 늙어간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미래를 철저하게 대비해
풍요로운 노후의 삶을 준비해야 한다는 경고를 잊지 않았다.
이미 오래전부터 인구구조의 흐름을 통해 신흥국의 성장세를 주목했던
조지 매그너스는 영국 런던의 씨티 금융가에서 존경받는 경제학자이자
현재 UBS 투자은행의 선임 경제 고문을 맡고 있다.
그와 서면 인터뷰를 통해 향후 인구구조와 경제
그리고 그 속에 숨어 있는 투자법에 대해 심도 있는 얘기를 나누었다.
그는 인터뷰에서 신흥국, 특히 인도와 아프리카를 눈여겨보라고 하면서
중국보다는 인도의 성장세에 한 표를 던졌다. 또 여성의 경제 참여가 늘어야
고령화를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말하는 고령화 시대를 맞이한
지구촌의 거시경제 변화와 그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은 무엇일까.
선진국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반면 신흥국은 인구 보너스의 수혜를 보게 되어
상대적인 풍요를 누릴 것이라고 언급했다. 인구 보너스란 무엇인가?
또 혜택을 유지하기 위해
신흥국은 어떤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보는가?
인구 보너스는 출산율 하락과 이로 인해 경제활동 인구에 대한 유년층과
노년층 부양비가 낮아지면서 나타나는 효과를 말한다.
노년층 부양비가 줄면서 경제성장률,
임금, 저축이 모두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인구 보너스의 혜택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각국 정부는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는 만큼 일자리를 창출하고
교육의 기회도 제공해야 한다.
무엇보다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산업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한데,
제조업이나 유통과 금융 서비스로 대변되는
서비스산업을 예로 들 수 있다.
중국의 줄어드는 저가 노동력이 전 세계 물가 상승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
중국의 내수 중심 경제로의 전환은 이런 우려를 다소 해소해주지 않나?
중국의 정책 기조 변화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가?
당장은 중국 노동자의 임금 상승이
세계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본다.
중국의 노동 생산성은 여전히 높은 편이고, 수출품의 가격은
아직 그다지 많이 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임금 상승을 꾀하려는 이유는
경제 성장의 과실을 인민들에게 돌려주려는 데 있다.
하지만 중국이 경제적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하려면 임금 상승 이상의 대안책이 필요하다.
즉 내수 시장의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 기관의 혁신, 특히 사법제도 개혁이 시급하다.
하지만 여전히 이러한 개혁을 이루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는 턱없이 부족하다.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아시아의 미국'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는데, 그 배경은 무엇인가?
인도는 인구 보너스의 수혜를 가장 많이 누리는 나라다.
향후 15년 이내에 인도의 경제활동인구가
현재 서유럽 전체 경제활동인구를 앞지르게 될 것이다. 인도는 젊다.
또한 인도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기술과 의학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민간 분야는 역동적이고 유연하다. 사법 및 정치 기구는
창조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하다.
하지만 인도 국민은 여전히 가난에 허덕이고 있고, 문맹률과 실업률도 높다.
따라서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아시아의 미국'으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관료제도 타파 및 부정부패 척결과 같은 개혁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시아 외의 지역 중 북아프리카의 행보가 돋보인다.
젊은 인구와 자원 부국이라는 점을 들어
북아프리카 지역의 가능성에 일찍부터 주목해온 것으로 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 재스민 혁명 등 최근 큰 변화를 겪은
북아프리카의 가능성을 재평가하자면?
재스민 혁명은 부정부패가 만연한 독재 정권이 젊은 근로자들의 경제·사회·
정치적 개혁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을 때
어떤 일이 발생할 수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국민들에게 경제적 풍요를 안겨다줌으로써
당장의 불만은 잠재울 수 있겠지만,
국민의 인권과 존엄성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중국도 이와 유사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앞으로 ‘ 중동 민주화 바람'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될지 어느 누구도 예측할 수 없지만,
이번 움직임이 불씨가 되어 의미 있는 경제·정치적 개혁이
이루어진다면, 이 지역의 경제 전망이 개선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석유자원이 풍부하다고 해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어날수록 출산율이 증가한다는 주장이 역설적이고 흥미롭다.
하지만 전제 조건으로 꼽은 ‘융통성 있는 근무 시간과
정부의 충분한 육아 시설 지원'은 현실화하기에 조금 무리가 있지 않을까?
성공적인 사례를 들어달라.
스웨덴과 스칸디나비아반도 국가, 미
국, 캐나다,
호주, 영국, 스위스를 예로 들 수 있다.
OECD 회원국 중에서도 앞에서 언급한 국가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뿐 아니라
출산율도 매우 높다. 믿기 어렵겠지만 엄연한 사실이다. 스웨덴과 미국에서는 정부와
민간 분야가 협력해서 자국의 실정에 가장 맞는 정책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이를 실행하고 있다. 한국도 한국 실정에 맞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는 비단 여성뿐 아니라
사회 전체에도 혜택을 준다. 또한 고령화가 불러올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저서에서 고령화는 정치·경제·사회적으로 중대한 위협을 가하는 동시에
투자자들에게
커다란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어떤 기회를 말하는 것인가?
고령화 사회는 많은 변화를 불러오고 이는 곧 투자 기회를 의미한다.
고령화 사회에서는 경제가 작동하는 원리뿐만 아니라
부가 창출되고 분배되는 방식도 변한다.
또 소비 패턴도 변할 수밖에 없다. 실례로 보건, 의약품, 보험,
레저, 기술과 관련한 산업이 호황을 누리게 된다.
또한 사업으로 벌어들일 수 있는 수입원은 줄어들고,
기술과 교육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이다.
하지만 모든 기회에는 리스크가 따른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새로운 기업이 수면 위로 부상하는 만큼,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기업이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자산 붕괴 가설(Asset Meltdown Hypothesis)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베이비 부머들이 대거 은퇴하면서 노후 생활비를 확보하기 위해 주식이나
채권을 매각할 수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주식 등이
그 기반을 잃을 것으로 본다. 이 논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자산 붕괴 가설'은 과장된 이야기에 불과하다. 은퇴 후 베이비 부머들은
안정적으로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자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채권을 매각하지는 않을 것이다.
은퇴 후 노후 생활비를 확보하기 위해 주식을 매각하고
부동산을 처분할 것이라는 주장도 추측에 불과하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가장이 65~70세인 가정의 주식 보유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고, 그래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들은 생각보다 장기간 주식을 보유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사회가 고령화되면 주식 투자 수익률은 낮아지지만 거시경제 정책,
기업지배구조 그리고 수익률에 따라
주식 시장 전망은 충분히 좋아질 수도 나빠질 수도 있다.
50, 60대 개인 투자자들은 은퇴 시기에 대해 나름의 기준을 세워 놓아야 한다.
이제는 은퇴 후 20년을 대비해야 하는데, 이 시기에는 의료 비용이 급격히 늘어난다.
따라서 젊을 때부터 은퇴 후를 대비해 노후 자금을 마련해야 하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산 배분을 달리 해야 한다. 은퇴 후에는 소득 창출이 중요하기 때문에
채권 투자 비중을 늘리는 것이 좋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좋은 수익률을 보여주는 신흥 시장이나
원자재 관련 주식 투자도 함께 가져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You have paid much attention to the rise of the emerging market. In particular, you emphasized the benefit of the ‘demographic dividend' which the emerging market would enjoy more comparatively to the developed world. What is the ‘demographic dividend'? And what kind of policies should those nations implement to take advantage of the ‘demographic dividend'?
The demographic dividend is a phase in which the dependency of children on the productive working age population declines, the working age population expands due to past higher fertility rates, and before old age dependency starts to rise significantly. This phase is associated with high rates of consumption, savings and economic growth. To take advantage of it though, governments have to create education and skill opportunities for younger citizens, and adequate employment opportunites for working age citizens. Mostly this can be done by building labour intensive manufacturing jobs, and service industries such as retailing and financial services, both of which have high labour content.
You expressed concerns about the impact the rising prices of Chinese labor would apply on the global inflation. However, it seems that the nation's recent policy shift from the economic growth to the domestic market has somewhat eased that concern. How do you se China's policy change?
For the moment, I think rising wages in China won't boost global inflation, because labour productivity growth is still quite high, and we know that Chinese export prices aren't rising that much. It is true that the government's strategy to raise wages is part of the official desire to shift growth towards household consumption. But this next stage in China's economic development is about much more than just higher wage levels, and I think China still lacks the political will and the high quality of institutions, especially the legal system, to make this shift likely soon or successfully.
You predicted that India would surpass China to become the ‘Asia's America'. Why? And do you still have confidence in that?
India is the world's most significant example of the demographic dividend. The working age population is set to grow by more in the next 15 years than the entire working age cohort of
Western Europe today. India is young. It has top tier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edical companies, for example. Its private sector has shown that it can be dynamic and flexible. And its legal and political institutions have the potential to facilitate creative change.
But India is also poor, has a high illiteracy rate, and large scale unemployment. To be
confident India can realize its potential, we need to see
the reform process advance a lot further, and that includes tackling
over-heavy bureaucracy and corruption.
Outside Asia, North Africa has recently shown meaningful progress as a good investment destination with huge potential. In fact, the continent rich in natural resources and younger workforce has been at the center of your attention for the past years. How has the recent social and political turmoil such as ‘Jasmine Revolution' affected your view on the continent?
The Jasmine Revolution demonstrates what happens when corrupt and authoritarian political systems fail to pay attention to the economic , social and political needs of its young population,
and expanding cohorts of working age men and women. You can buy off economic unrest, as
Saudi Arabia has demonstrated, but you can't use economic policy to
give people a sense of status,
respect, and aspiration which is a problem China may well have to address in the next few years.
I don't think anyone knows really how the 'Arab Spring' will evolve in the coming months and years, but if it serves as a catalyst for meaningful economic and political reform, the region's economic outlook would doubtless improve. Just having oil doesn't guarantee any sort of durable success.
Interestingly, birthrate would increase as more and more women participate in the economic activity. In order to make it happen, however, flexible working hours and the sufficient government support for daycare centers should come before hand. Is there any successful example which Korea can learn from?
Yes. Look at Sweden, and other Scandinavian countries, and perhaps also at the US, Canada, Australia, the UK and Switzerland. These countries have the highest female labour participation rates in the OECD, and tend to have the highest fertility rates. This is not what most people would expect, but it's a fact. Sweden and the US use their goverment and private sectors, respectively, in different ways to come top of the class here - and Korea, for example, will have to choose whatever will work best locally. There's no doubt though that getting more women into work and keeping them there is good for them, good for society, and an essential way of addressing ageing population issues.
The ageing society poses a grave threat to a nation in term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s a whole. But it also gives a huge investment opportunity to individuals. Would you explain more in detail?
Ageing societies are a big investment opportunity, because of the enormous changes they will bring. They will change the way economies work and the manner in which wealth is created and distributed. Consumer demand patterns will change, for example emphasizing healthcare, pharmaceuticals, insurance, leisure, and technology. The distribution of income between wages
and profits will change in favour of wages. Skills and education will become even more important.
As these things happen, the composition of the universe of successful companies will
change too. But be warned, this represents a source of opportunity, but also risk.
There will be losers.
Those who argue the ‘Asset Meltdown Hypothesis' say that the global stock market would tumble as baby boomers have no choice but to sell their stocks and bonds to sustain their living after retirement. Do you agree to that?
No, I think that is simply a scare story. They definitely won't sell their bonds, because older citizens need income generating assets. Whether they sell equities and real estate to fund their retirement years is entirely speculative. The evidence to date suggests that households headed by citizens aged 65-70 own a smaller proportion of equities in their asset allocation than slightly younger households - as they should - but that they are hanging on to their equities for longer than could have been predicted. In the end, ageing means lower equity returns than we've been used to,
but the equity market outlook is, I think, as much a call on macroeconomic policies
and governance, and of course, profits.
Would you suggest investment strategy to individual investors who would live longer?
Individuals must all make their own decision when they are in their 50s and early 60s as to when they think they can afford to retire, prior to spending perhaps 20 years or more in retirement, the last few years of course, with growing bills for healthcare and residential care. This means basically we have to start building up our savings pools earlier, and shifting the asset allocation as we approach retirement. Essentially, an investment strategy for older citizens should allow for a higher weighting in bonds for income generating purposes, but also for a continuing exposure to equities for a while, in say, emerging markets and resources, where there are relatively sound
good long-term stories to tell. 이상은 미래에셋에서 곱게 퍼담아 와서 정리한 글입니다